부자프로젝트/경제이야기

백금 < 금값 … “불황 전조”

닥터 후 2012. 8. 14. 10:59

 

즐거운 샤핑 http://www.shapping.co.kr

 

올 들어 다섯 달째 역전,

경제 위기 때마다 나타나...






백금(플래티넘)의 가격이 금값보다 높은 것은 상식이다. 2000년 이후 장기 추세를 보면 백금이 금보다 20~30% 높은 가격을 유지해 왔다. 그런데 최근 두 황제 금속 간의 위상이 역전돼 금값이 백금값을 크게 웃돌고 있다. 13일 국제 금값은 온스(31.1g)당 1623달러 선이었다. 반면 백금값은 온스당 1395달러 선을 나타냈다. 금이 백금보다 220달러(16.3%) 비싸게 거래됐다.

 이런 역전 현상은 3월 중순 이후 다섯 달째 이어지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월가 전문가들이 그 역전 현상을 불황의 전조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12일 보도했다. 백금은 연간 생산량 중 60%가 산업용으로 쓰인다. 따라서 '실물경제의 맥박계'라고 불릴 정도. 백금을 가장 많이 쓰는 곳은 자동차 회사다.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백금촉매 때문이다. 그런데 근래 재정위기에 노출된 유럽의 자동차 회사들을 중심으로 한 생산 감축에 따라 백금 수요도 위축되고 있다.

 반면 금은 산업용보다는 자산가치의 보존 수단으로 각광을 받는다. 대체로 경제가 불안하고 화폐가치가 떨어질 때 값이 오른다. 최근 유럽 재정위기 탓에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도지고 미 중앙은행의 3차 양적완화(QE)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금 가격은 다시 상승하고 있다.

 백금과 금 가격의 역전은 과거에도 글로벌 경제의 위기 상황을 반영하는 바로미터였다. 미국의 더블딥(경기 회복 뒤 재침체) 직전인 1979년 하반기, 1차 걸프전 침체 직전인 90년 하반기에 모두 금값이 백금 가격을 웃돌았다. 미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8년 하반기에도 그랬다.

 WSJ는 “최근 금과 백금 가격의 역전 폭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85년 이후 27년 새 최고 수준”이라고 전했다. 그만큼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는 얘기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상품분석팀장인 톰 켄덜은 WSJ와의 인터뷰에서 “백금값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유럽 자동차 회사들의 수요가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요즘 유로존(유로화 사용권) 상황에 비춰 당장 기대하기는 어려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