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Oracle DBA & ERP TA 정보 공유 닥터 후

카테고리

www.shapping.co.kr (433)
카야니 (26)
부자프로젝트 (232)
Oracle (38)
SAP (2)
유용한 정보 (132)
핫! 이슈 (3)
Total
Today
Yesterday

한국투신, 미국 앵커 유전에 투자

분기마다 원금·이익금 분할 지급






 장기간 안정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절세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공모 유전펀드가 나왔다. 한국투신운용의 '한국투자 Ankor 유전 해외자원개발 펀드 1호'다. 펀드 공모자금은 총 3000억원대다. 이 자금으로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한 미국 멕시코만 앵커 유전의 광업권 29%를 매입해 배당수익을 추구한다.



 앵커 유전은 2008년부터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이 투자하고 있는 생산광구로, 현재 하루 1만5000배럴씩 생산하고 있다. 한국투신운용 측은 현재의 생산량을 감안해 연 10%를 목표 수익률로 잡았다. 이 기간 동안 원유 가격이 상승하거나 생산량이 늘면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만기는 2026년으로 15년이며 중간에 환매할 수 없는 폐쇄형이다. 하지만 펀드 설정 후 90일 내에 한국거래소에 상장하기 때문에 중간에 주식처럼 사고팔아 현금화할 수 있다.

 국내에서 공모 유전펀드가 나온 것은 2006년 말 '한국 베트남 15-1 유전개발 1호 펀드'가 나온 지 5년여 만이다. 이달 31일에 만기가 돌아오는 이 펀드는 당시 연 7.5% 수익률을 목표로 했다. 현재 수익률은 13.62%로 훨씬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유전펀드는 매 분기 투자 원금과 이익금을 분할 지급받기 때문에 원활한 현금흐름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 또 2014년까지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특례가 적용돼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액면 기준 3억원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는 15.4%, 그 이하의 원금에 대해서는 5.5%의 분리과세가 적용된다.




1월 26일부터 4일간 청약을 받는다고 합니다.(대우증권, 삼성증권에서 청약이 가능)


개인의 경우 1주에 5000원으로 200주(100만원)부터 청약이 가능하며,
청약완료 후 경쟁률에 따라 배정받는 방식이라 합니다.


전에 해외자원개발 취지로 출시되었던 국내최조 유전펀드인
'한국베트남 15-1 유전대발 1호'인 유전펀드 1호는 높은 수익률(65.77%)을 기록하였기에
이번 유전펀드 2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다만 이번 유전펀드 2호의 경우 수익구조가 좀 다르다고 합니다.


미국 멕시코만 유전 지분 29%를 사들여 수익을 챙기는 형태로 운영된다고 하는데요.
즉, 개방광구에 투자했던 유전펀드 1호와 달리 생산광구에 투자하는 유전펀드 2호는
'원유생산이익' 외에 다른 수익은 기대할 수 없다고 합니다.


즉, 1호 펀드와는 달리 유가에 영향을 받는 펀드라고 할 수 있지요.


이 유전펀드 2호는 15년(2026년)의 폐쇄형(중도해지 불가능),
특별자산펀드며 운용기간 동안 매 분기 생산량에 따라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데요.


간단히 말하면 유가가 떨어지면 이익 분배금이 감소하고 최악의 경우 원금손실도 감안해야 한다고 합니다.


석유공사가 유전 지분은 인수할 당시 기준 유가는 두바이유로 배럴당 96.87달러.
즉, 유가가 그 이상으로 올라야 수익이 나는 구조라고 할 수 있고요.




 한국투자 ANKOR유전 해외자원개발펀드 Q&A

 

 

 Q: 한국투자 ANKOR 유전개발펀드란?

 

유전 펀드는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유전의 지분을 인수하여 그로부터 나오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분해주는 펀드입니다.
본 펀드의 대상 유전은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이 각각 미국에 설립한 자회사를 통하여 8 : 2로 보유하고 있는 美멕시코만의 Ankor 유전이며, 당 펀드는 석유공사 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 중 (전체 100% 지분 기준) 29%를 인수합니다.
만기 15년의 장기 상품이지만, 증권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므로 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합니다.


본 펀드는 무역보험공사의 펀드 보험에 가입하여 투자원금의 일정부분 보존을 추구하고 있으며, 개인투자자에게는 2014년 말까지 액면가액 기준 3억원 이하 보유주식의 배당소득에 대해 5.5%의 분리과세, 3억원 초과 보유주식의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15.4%의 분리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Q: 한국투자 ANKOR유전 해외자원개발펀드는 어떠한 특징이 있나요?

 

본 펀드는 한국유전 15-1펀드 이후 5년 만에 출시되는 유전관련 공모 해외자원개발펀드로서, 해외자원개발펀드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어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정적 생산을 기반으로 한 높은 수준의 배당수익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유전 중 가장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美Ankor 광구에 투자하는 펀드로서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기대 수익률은 IRR 기준 연 10%로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Upside Potential
예상 생산량 대비 실제 생산량이 증가하거나 유가/천연가스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Upside Potential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헷지거래 및 보험을 통한 안정성 제고
원유 및 환율에 대한 헷지거래를 체결하여, 투자수익률의 변동성 위험을 최소화하였으며, 해외자원개발펀드보험 가입을 통해 투자원금의 일정부분 보존 추구합니다.

 

4. 개인투자자의 배당수익에 대한 세제혜택
“해외자원개발사업법”에 따라 출시되는 상품으로서 개인투자자는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통한 유동성 보강
본 펀드는 공모 90일 이내에 주식시장에 상장될 예정으로 투자자는 필요할 경우 시장매각을 통해 자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Q:  美 ANKOR 광구는 어떠한 광구인가요?

 

본 펀드가 투자하는 자산은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미국 멕시코만에 위치한 ANKOR 광구입니다.
ANKOR 광구는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이 100% 지분을 공동소유하고 있으며,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의 지분비율은 80:20입니다. 본 펀드는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80%의 지분 중 (전체지분대비)29%를 매입하게 되며, 한국석유공사는 본 거래 후 51%의 지분을 보유하게 됩니다.


ANKOR 광구는 생산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개발유전과는 달리 안정적인 생산을 지속하고 있는 생산유전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우량 자산입니다.

생산자원은 원유와 천연가스이며, 원유가 약 85%의 비중(매출액 기준)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석유공사의 美자회사인 Ankor E&P Holdings가 광업권 지분의 80%를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물산의 美자회사인 Song USA가 광업권 지분의 2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광구의 운영은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이 美Ankor광구를 최초 인수할 당시 함께 인수했던 Ankor Energy LLC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Ankor Energy LLC는 멕시코만 해상유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다양한 운영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투자자는 광구의 안정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Ankor 광구는 총 6개 유전에 걸쳐 17개의 생산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원유생산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탐사 광구도 일부 보유하고 있어, 향후 생산에 성공할 경우 Upside Potential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Q: 한국석유공사는 왜 이 자산을 파나요?

 

근본적인 이유는 국가 에너지 자주개발률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석유 및 가스 기준 2010년 국가 에너지 자주개발률은 10.8%이며, 2012년 목표는 20%, 장기적인 목표로 2030년에는 40%에 달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예산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국내 민간자본의 조달을 통해 국가 에너지 자주개발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생산이 되고 있는 유전의 비운영권지분을 국내 민간 자본에 넘기고, 석유공사는 그대로 운영권을 유지하면서 이로 인해 조달한 자금으로 신규 유전 개발에 나서는 것이 본 자산의 매각 사유입니다.


본 자산은 한국석유공사가 보유한 자산 중에서도 높은 수익성과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는 최우량 자산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석유공사는 보유자산 유동화를 통해 신규 유전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자금을 조달하고 공사의 재무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美 ANKOR 광구의 지분 29%를 국내 투자자에 매각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Q: 기존에 출시되었던 자원펀드인 한국유전 15-1펀드와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베트남 유전펀드)

 

개발도상국인 베트남에 위치한 유전에 투자했던 한국유전 15-1펀드와는 달리 정치적, 경제적으로 안정되었으며 정유시설, 파이프라인 등 해상유전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된 선진국인 미국에 위치한 유전에 투자하는 안정적인 상품입니다.


또한 한국유전 15-1펀드가 투자했던 유전이 생산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큰 초기 단계의 생산유전이었다면, 본 펀드가 투자하는 美Ankor 유전은 생산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은 보다 안정적인 유전입니다. 따라서 기존의 한국베트남 15-1펀드에 대비해서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Q: 한국유전 ANKOR 유전개발펀드는 주식인가요? 채권인가요?

 

한국유전 ANKOR유전개발펀드는 투자신탁이 아닌 투자회사의 형태이며, 투자자가 주주의 위치에서 의결권을 지니고 배당을 받는다는 측면에서 일단 주식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주식과는 달리 만기가 있고 원리금이 분할상환되는 측면에서 채권의 특성도 가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Q: 향후 유전펀드가 지속적으로 출시될 예정인가요?

 

본 펀드는 한국베트남 15-1펀드 이후 5년 만에 출시되는 유전관련 공모 해외자원개발펀드입니다. 향후 유전펀드의 출시는 현재 상황에서는 예정되어 있는 것이 없는 상황이므로, 주식/채권 이외의 대체투자상품을 찾고 있으며 특히 천연자원에 대한 투자에 관심 있는 고객이라면 참고하실 만 합니다.

 

 

 Q: ANKOR 광구의 운영은 누가 담당하고 생산된 원유 및 천연가스는 어떻게 판매되나요?

 

ANKOR 광구의 운영은 한국석유공사의 100% 자회사인 Ankor E&P Holdings가 80%, 삼성물산의 100% 자회사인 Song USA가 2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Ankor Energy LLC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Ankor Energy LLC는 한국석유공사와 삼성물산이 2008년 ANKOR 광구를 처음 인수할 당시 광구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美테일러社를 인수하여 사명을 바꾼 회사로, 멕시코만 해상광구 운영에 대한 전문 지식과 오랜 기간의 운영 Know-how을 보유하고 있는 현지인력이 그대로 고용승계 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Ankor Energy LLC는 현재까지 해당 광구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ANKOR 광구에서 생산되는 원유는 BP가, 천연가스는 삼성물산이 각각 구매하는 공급계약이 체결되어 있습니다. 멕시코만 해상유전에서 생산되는 원유와 천연가스는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해안가에 위치한 정제시설로 운송되어 정제를 거친 후 美본토에서 바로 소비되게 됩니다.

 

 

 Q: 원금과 이익금을 3개월에 한번씩 분기별로 지급하나요?

 

본 펀드는 투자회사 형태로 설립되므로 이익금은 배당지급의 형태로 이루어 지게 됩니다.

단, 본 펀드는 매 이익금 지급 시 원금의 일부를 함께 상환하기 때문에 매 지급시기 마다 원금과 이익금을 합한 분배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본 펀드는 3개월에 한번씩 분배금을 지급하며, 첫 번째 분배금은 3월경에 지급할 예정입니다.

 

이후에는 매년 3,6,9,12월의 5일을 투자회사의 결산일로 하여 결산기말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에게 등록된 주식수에 비례하여 분배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이때 수입의 분배에 의거 주총을 하지 않고 주주명부만 폐쇄하여 주주를 확정하여 분배금을 지급합니다. 즉, 배당기준일(주주명부폐쇄일)을 기준으로 주식을 소유한 자에게만 배당을 지급하는 기존의 상장(등록) 주식의 배당지급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배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또한 현금배당을 하고 배정받으신 주식수는 만기까지 변동이 없으며(주식배당 없음), 매일 공지되는 순자산가치(NAV)는 원금을 포함한 분배금 지급에 따라 점차 감소되어 만기에는 순자산가치가 0이 될 것입니다.


 

 

 Q: 한국투자 ANKOR 유전 해외자원개발투자회사는 명목상 회사 (Paper Company)라고 하는데

     자산의 운용 및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당 해외자원개발투자회사는 명목상의 회사이므로 자산의 운용 및 관리를 일정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외부에 위탁합니다.

 

펀드의 운용은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담당을 하며, 회사의 현금, 유가증권 및 기타 자산의 보관, 회사의 지시에 따른 현금 및 유가증권의 인수, 배당금 수령 등의 업무를 하는 “자산보관회사”는 중소기업은행이 맡고 있으며, 회사의 운영에 관한 사무ㆍ이사회 및 감독이사의 업무보조ㆍ문서사무ㆍ금융감독원이 정한 회계기준에 따른 공정한 기준가격 산정 등의 업무는 신한아이타스(주)가 담당합니다.


 

 

 Q: 한국유전 ANKOR 유전개발펀드의 수익률은 어느 정도인가요?

 

예상되는 목표수익률은 (IRR기준) 연 10%정도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의 경우 적용되는 세제혜택을 감안하면 세전수익률 기준으로 일반과세 대상자에게는 11.17% 종합과세 대상자에게는 15.36%을 주는 일반적인 금융상품과 동일한 세후수익률이 기대됩니다 (3억원 이하 투자 시). 단, 고정수익이나 확정수익이 아니고 실적배당수익임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Q: 유전개발펀드의 세제상 혜택은 어떠한가요?

 

현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르면 2014년 말까지 펀드투자금액의 3억원까지는 5.5%의 저율분리과세 혜택이 주어지며, 3억원 초과시에는 초과하는 소득의 15.4 %(주민세포함)에 해당하는 분리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적은 돈을 투자하는 고객은 물론 거액 고객에게도 큰 세제혜택이 있는 상품입니다.


또한 당연한 말이지만, 배당 시 과세는 원금을 뺀 나머지 배당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

 

 

 Q: 향후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 전망은 어떠한가요?

 

유가의 경우,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북아프리카 및 중동지역의 정정불안, 자원민족주의 확산에 따른 신규 시추비용 증가 등 공급불안요인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으로 견조한 상승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천연가스 생산기술 발전에 의한 공급증가로 천연가스 가격은 최근 10년 기준 저점 수준에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경기회복, 일본 원전사태의 영향으로 향후 산업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이에 따른 가격상승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Q: 유전개발펀드가 직면할 수 있는 위험(risk)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대응방안은 무엇인가요?

 

주요 위험 요소

관리 방안

매장량/생산량

- 매장량 전문 평가 기관을 통해 매장량 분석 및 검증

예측 위험

- 대부분의 유/가스전이 실제 생산 중인 유/가스전들로 예측 오차가 발생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음

환율

- 달러 가치 하락 시, 투자자 수익률 하락 위험 

변동 위험

- 초기 7년간 예상 USD 유입액의 70% 수준에 대해 파생상품 (FWD) 거래를 통해 환율 변동 위험 Hedge 

원유 가격

- 투자 시 초기 7년간 예상 원유 생산량의 75% 수준에 대한 유가 Hedge를 통해 원유 가격 변동 위험 축소 

변동 위험

가스 가격

- 최근 10년간 가스가격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가격은 저점 수준으로 완만한 상승세 예상됨 

변동 위험

- 향후 가격 상승을 예상하여 헷지없이 진행 

운영 위험

- 2008년 Taylor 인수 시 운영인력을 그대로 승계하여, 대상회사의 자원개발 자산들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다수의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음
- 국내 최고의 운영기술력을 보유한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광구 

투자 원금

- 해외자원개발펀드 보험 가입을 통해 비상위험 및 사업위험의 일정부분 상쇄 
- 투자원금에 대한 일부 보존 (부보율에 따라 보존율 변동가능)
보험료 및 보험금은 USD 기준으로 결제되므로 원금 보존은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음
최초 Hedge 물량에 미달하는 생산량 부분에 대한 Hedge 관련 손익은 펀드 보험 부보 대상에서 제외됨 

판매 위험

- 현재 원유는 BP사가, Gas는 삼성물산이 Off-Taker(구매자)이며, 지금까지 안정적인 매출을 보이고 있음 
- 미국은 원유 및 가스 시장이 매우 발달해 있으므로 생산 유전의 경우 소량의 생산물도 즉시 판매 가능할 것으로 예상

비운영권자

- 동 펀드는 합자회사의 유한책임사원(LP) 출자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美 SPC에 수동적으로 투자하는 형태임.

위험

하지만, 동 합자회사는 자원 관련 전문성을 보유한 한국석유공사가 GP를 담당하여 운영할 예정이며, Transaction Agreements 체결 및 한국석유공사와의 협의를 통해 비운영권자 위험 경감 예정

 

 

 Q: 원금은 보장이 되나요?

 

한국유전 ANKOR 유전개발펀드는 원금보장형 상품이 아닙니다.

실적배당형 상품으로 보아야 하며, 한국무역보험공사의 해외자원개발펀드 보험을 활용해 투자금의 약 82.5% 수준까지는 보존 (보험에서 보존하는 금액에서 기회수분(기지급된 원금+배당)을 차감함)받을 예정입니다. 단, 보험료 및 보험금은 USD 기준으로 결제되므로 원금보존은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최초 Hedge 물량에 미달하는 생산량 부분에 대한 Hedge 관련 손실은 부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 해외자원개발펀드보험은 어떤 위험에 대한 손실을 보상해주나요?

 

해외자원개발펀드보험은 펀드가 국가의 필요, 혹은 국가가 투자해야 할 부분을 대신해서 투자하거나, 국가의 산업정책적 목적으로 조성될 때는 투자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신용보강조치가 필요한 취지에 따라 도입된 제도입니다. 해외자원개발펀드가 담보하는 위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상위험: 피투자국의 수용, 전쟁, 혁명, 사업권 침해, 송금제한 등
2) 신용위험: 피보험투자상대방(차주)의 파산, 채무불이행
3) 사업위험: 투자만료시 원금손실 등(유가, 생산량 위험이 포함됨)
상기 기술한 위험들은 해외자원개발에 따른 대부분의 위험을 포함하며, 특히 사업위험 보장의 경우 원금손실에 대해 보장을 해준다는 측면에서 실질적인 원금 보장의 역할을 해줍니다.(단, 실질 보장률(부보율)에 따라 보장비율 변경 가능)


본 펀드는 실제 투자금액의 약 82.5%수준까지 부보 받을 예정이나, 보험료 및 보험금은 USD 기준으로 결제되므로 원금 보존은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최초 Hedge 물량에 미달하는 생산량 부분에 대한 Hedge 관련 손실은 부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원문 : http://samsungpopblog.co.kr/90134193517

 

Posted by 닥터 후
, |